본문 바로가기

투자길잡이

경유의 환경오염저감 노력이 필요하다.

원유를 가공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계속 열을 가해 끓이는 것이다.
원유 주성분인 탄화수소를 증류해 분리시켜서 휘발유·등유·디젤 등 주요 성분을 분리해 뽑아내는 식이다. 유종별로 끓는점이 다르다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이런 식으로 하면 가장 끓는점이 낮은 액화석유가스(LPG)부터 분리된다. 상온에서는 기체로 존재하는 LPG를 시작으로, 끓는점이 350도 이상인 중유까지 온도가 올라가면서 분리된 각기 다른 성분들을 식혀내서 각각의 저장고에 담아내면 휘발유·등유·디젤 등 서로 다른 유종이 되는 것이다.

환경 규제 등이 강화되면서 최근 정유사들이 적용하는 실제 과정은 이보다 조금 더 복잡하다. 단순 정제를 통해 주요 성분(납사·등유·디젤·중유 등)을 뽑아낸 뒤에 이 성분들을 다시 한 번 걸러내는 고도화설비(개질·탈황·분해 설비) 등을 통해서 유종별로 생산해내는 것이다. 개질(改質)은 휘발유 옥탄가를 높이는 방식 등으로 품질을 높이는 것을 뜻하며 탈황은 황 성분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처리 방식은 복잡해졌지만 기본 원리는 열을 가해 끓는점의 순서대로 뽑아내는 것이라고 봐도 큰 무리가 없다.
LPG와 찌꺼기 사이에는 끓는점이 낮은 순서대로 휘발유-나프타-등유·항공유-디젤-윤활유-중유(벙커C유)로 분리된다.정제 과정에서 가장 먼저 생산되는 LPG는 부탄과 프로판이 주성분이다. 부탄은 LPG 차량 등에 사용되고 프로판은 주로 가정에서 취사나 난방에 쓰인다. 기체다 보니 운송·수송 등은 편하지만 끓는점이 워낙 낮아서 인화와 폭발 위험이 있는 것이 단점이다.

휘발유는 안정적인 연소가 장점인 대신 폭발적인 힘은 없다. 승용차 등에서 휘발유를 쓰는 것도 안정성에 주목한 때문이다.

그다음으로 생산되는 것이 나프타, 흔히 '납사'라 불리는 물질이다. 나프타는 이후 화학회사 등의 공정을 거쳐 에틸렌과 프로필렌 등으로 바뀌어 각종 화학제품의 기초가 된다.

등유는 끓는점이 100도 이상이다. 그래서 정제 방식이 원시적인 시절에도 타 유종에 비해 안정적으로 생산이 이뤄질 수 있었다. 초기엔 전등·난방용 등으로 많이 사용됐지만 지금은 난방 등에서는 더 효율이 좋은 디젤 등이 사용된다. 대신 등유는 고온·고압에서도 안정적인 특성으로 인해 별도의 정제 과정을 거쳐 항공유 등에 활용되고 있다.

등유 다음으로 나오는 디젤은 효율이 높아 발전·차량용으로 많이 활용된다. 흔히 벙커C유로 불리는 중유는 끈적끈적한 원유와 비슷한 느낌의 기름이다. 원유에 가장 많이 포함된 성분(30~50%)이다 보니 싸서 대형 발전·선박 등의 연료로 활용된다. 다만 인화점, 끓는점이 높다 보니 연소시키기 어렵다. 불완전연소로 매연도 심해 최근에는 점차 활용하는 곳이 줄고 있다.

중유의 활용이 줄면서 환경 오염과 관련된 논란이 있을 때면 디젤이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은 디젤 중에서도 디젤 차량이 미세먼지의 주범이라는 주장이다. 수송용 연료인 휘발유와 디젤, LPG와 압축천연가스(CNG)의 배출가스와 관련된 연구 결과를 놓고 업계 간 해석이 첨예하게 엇갈린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인정하는 것은 디젤이 질소산화물(NOx)과 미세먼지를 가장 많이 배출하지만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 항목에서는 디젤이 가장 적은 양을 배출한다는 것이다. 디젤엔진은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적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친환경의 잣대로 평가하던 시기에 디젤이 클린에너지가 됐던 이유다. 그러나 최근 들어 문제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와 관련해서 정유업계는 "디젤만 미세먼지를 양산하는 것은 아니다"며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에너지기술연구원의 실험에서는 디젤 차량이 ㎞당 0.0021g의 미세먼지를 배출했지만 LPG(0.002g), 휘발유(0.0018g),CNG(0.0015g) 등도 미세먼지를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여기서 생각 해 보기!!!

경유차의 경우 클린경유에 대한 연구개발이 지속되어야 하고 배출가스 저감장치의 효율 및 성능 향상이 함께 뒷받침 되어야 합니다.

경유에 의한 대기와 환경오염 저감을 위해 증세는 당연한 듯 합니다. 그래야 관련업계에서도 환경오염 저감을 위해 적극적인 개발에 동참 할 것입니다.

그렇기 되어야 미세먼지의 주범에서도 벗어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개인적인 생각을 해 봅니다.